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수의학, 호흡 생리학, 호흡 수 체크, 정상 호흡 수

강아지-수의학-호흡
강아지-수의학-호흡

 

 

강아지 수의학 공부에서 호흡 생리학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의 호흡관련 해부학, 호흡수 체크, 정상적인 호흡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강아지 호흡생리학

 

강아지의 호흡은 생리학적으로 두 가지 의미로 해석이 됩니다.

 

하나는 세포에서 유기분자의 대사를 위한 산소로 이용되고, 대사산물로 생성된 이산화탄소를 배추하는 세포호흡이죠.

 

다른 하나는 내부기관과 외부환경 사이의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으로 호흡생리학의 주제입니다.

 

호흡기계는 폐와 폐에 연결되는 기도 및 폐 안팎으로 공기의 출입을 책임지는 흉부구조를 포함합니다.

 

폐는 작은 공기주머니인 폐포(alveoli, 약 3억개)와 공기가 통하는 관으로 외부환경과 폐포를 연결하는 기도로 구성되며, 기도와 기관지에는 연골이 있지만 세기관지(bronchioles)는 연골이 없습니다. 세기관지는 평활근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세기관지의 직경을 조절해 공기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기도에서 페포가 없어 가스(산소와 이산화탄소)교환이 이루어 지지 않는 부위는 전도구역(conducting zone)으로 공기의 저항을 조절합니다. 

 

또한 방어적 목적으로 미생물, 독성물질, 여러 외부물질을 섬모(cilia), 점액, 큰포식 세포를 이용하여 걸러내고 공기를 따뜻하고 습기 있게 유지해준다고 합니다.

 

대기와 페포사이의 공기의 흐름은 페포압과 대기압의 차이에 비례하고, 기도 저항에 반비례한다. 

 

흡기(들숨)동안, 가로막(횡경막)과 흡기성 갈비사이 근육(늑간근)은 수축하여 흉강의 부피를 증가시키고, 호기(날숨)동안, 흡기성 근육은 수축을 멈추고 폐는 탄력적 반동으로 원래 크기로 돌아가게 됩니다.

 

환기(ventilation)를 통해 페포로 들어온 공기는 분압의 차이로 산소는 혈액으로 이동하고, 이산화탄소는 페포로 확산됩니다.

 

산소는 혈장에 녹은뒤, 다시 적혈구로 확산되어 들어가 헤모글로빈(hemoglobin)과 결합해 전신순환을 통해 말초에 도착한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산소는 다시 적혈구 세포질로 녹아 나오고, 다시 혈장으로 빠져나간 후, 조직에 녹아 들어가게 되죠.

 

하나의 헤모글로빈은 총 4개의 햄(heme)이 있어 4개의 산소분자와 결합할 수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는 대사산물(노페물)로 수소이온을 생성하기 때문에 일종의 독소로 여겨집니다.

 

조직에서 생산된 이산화탄소는 간질액에 녹아 들어가고, 다시 혈장, 척혈구 세포질로 들어가게 되고, 일부 이산화탄소는 헤모글로빈과 결합을 합니다.

 

또한 적혈구 세포질에서 이산화탄소는 탄산무수화효소(carbonic anhydrase)의 작용으로 물과 결합하여 중탄산염(탄산수소소듐, H2CO3)이 되어 염소이온과의 교환작용으로 다시 혈장에 유리됩니다.

 

페포로 이동된 헤모글로빈 결합 이산화탄소와 중탄산염은 조직에서의 반응과는 반대로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어 페포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산소와 결합되지 않은 헤모글로빈은 산소보다 수소이온에 더 강력한 결합력을 나타내며, 이런 현상은 일종의 수소이온을 제거하는 완충작용으로 이용됩니다.

 

자발적인 호흡 운동은 운동신경이 가로막과 갈비사이근육을 수축시켜 발생하는데 흡기는 척수의 운동신경의 활동전위에 의해 시작되며, 활동전위가 사라지면 흡기 근육은 이완되고 폐의 탄력섬유의 작용으로 호기가 발생하죠.

 

숨뇌에는 호흡중추가 있고, 호흡조절은 혈액의 산소분압, 이산화탄소분압, 수소농도에 의해 조절됩니다.

 

다음으로 강아지의 호흡수 체크와 정상적인 호흡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강아지 호흡수 체크

 

호흡은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보내는 가스교환을 통해 생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드는 과정으로 호흡을 위해서는 횡경막과 갈비뼈의 움직임이 중요합니다. 

 

숨을 들이마시면 갈비뼈는 올라가고 횡경막은 내려가서 폐의 부피가 늘어나 많은 양의 공기가 폐 내로 들어올 수 있게됩니다.

 

정상적인 호흡은 흉부와 복부를 모두 사용하는 '흉복식' 호흡으로, 갈비뼈만을 이용하는 흉식호흡과 횡경막만을 이용하는 복식호흡은 병적인 호흡이라고 합니다. 그러므로 호흡곤란이 있는 개와 고양이에서 호흡수의 측정은 중요하죠.

 

강아지의 호흡수를 체크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호흡수는 동물이 최대한 편안한 상태에서 측정해야합니다. 자고있거나 휴식을 취할때가 가장 좋습니다.

가슴과 배부위의 움직임을 1분간 관찰하면서 측정을 해야하므로 필기도구를 미리 준비해두시길 바랍니다.

 

동물이 흥분상태이거나 헐떡거리는 경우에는 호흡이 빨라지기 때문에 정확한 측정은 어려워서 동물이 흥분된 상태에서 측정한 경우에는 측정한 호흡수를 기재한 다음 옆에 환자 흥분상태라고 표시해야 나중에 정상적인 상태의 호흡수와 비교하기 편합니다.

 

3) 강아지 정상 호흡수 (1분 기준)

 

구분 정상 호흡수
강아지 16-32
고양이 20-42

 

 

 

 

지금까지 강아지 수의학, 호흡 생리학, 호흡 수 체크, 정상 호흡 수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강아지 호흡에 대해 더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에 접속하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강아지 해부학 공부, 호흡계통, 순환계통, 구조

1. 강아지 호흡계통 강아지의 해부학에 대한 내용으로 호흡계통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호흡은 모든 생물이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는 체외로부터 산소를 받아들이고 물

chibicheerup.com